무인항공기 & 드론 이야기20 무인 항공기 시스템의 성능 검증을 위한 HILS 시스템 무인 항공기(UAV) 및 드론과 같은 자율 비행 시스템의 개발은 매우 복잡하며,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검증하기 위해 HILS(Hardware-in-the-Loop Simulation) 시스템은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HILS 시스템에 대한 개요, 필요성, 구성 요소, 시스템 종류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개요HILS는 실제 하드웨어와 가상 시뮬레이션을 결합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실제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가상 환경에서의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여 실제 비행 환경에서의 성능을 예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필요성 무인 항공기와 같은 자율 비행 시스템은 안전성과 신뢰성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실제 환경에서의 테스트는 비용이 많이 들고 위.. 2024. 4. 1. 무인 항공기 시스템 설계의 핵심 6단계 자세히 살펴보기 무인 항공기(UAV)는 최근 기술 발전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항공기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프로세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무인 항공기 시스템을 설계하는 단계와 각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요구 사항 분석무인 항공기 시스템을 설계하기 전에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항공기의 목적과 용도를 명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항공 탐사를 위한 UAV는 대기질 조사나 지형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진 촬영용 UAV는 고해상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습니다. 요구 사항 분석 단계에서는 또한 운용 환경, 비행 조건, 운용 시간 및 안전 요구 사항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2. 시스.. 2024. 3. 31. 고정익형 무인항공기의 비행 모드와 서브 모드 알아보기 고정익형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는 다양한 비행모드와 다양한 서브모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해당 UAV의 용도와 장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행모드와 모드별 서브모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동 모드 (Manual Mode)수동모드에서는 조종사가 항공기의 모든 조종을 담당합니다. 비행경로, 고도, 속도 등의 모든 파라미터는 조종사의 조작에 따라 직접 제어됩니다. 이 모드는 주로 훈련이나 특정 임무에서 조종사가 직접 비행을 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반자동 모드 (Semi-Autonomous Mode)반자동 모드에서는 일부 기능이 자동화되지만, 여전히 조종사의 입력을 필요로 합니다. 일반적으로 비행경로나 고도와 같.. 2024. 3. 30. 무인 항공기의 지상통제시스템(GCS) 무인항공기(UAV)의 지상통제시스템(Ground Control System, GCS)은 무인항공기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핵심 기술입니다. 이 시스템은 무인항공기의 비행을 제어하고, 임무 데이터를 관리하며, 실시간으로 항공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지상통제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지상통제시스템(GCS)이란? 조종사 없이 비행하는 무인항공기를 지상에서 제어할 수 있게 해주며, 항공기의 모든 비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운용자에게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운용자는 무인항공기의 비행 경로를 조정하거나, 필요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주요 구성 요소 GCS는 크게 스틱조종기(Stick Controller), 노브조종기(Knob C.. 2024. 3. 30.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