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항공기에 사용되는 실시간 운영체제(RTOS, Real Time Operating System) 는 비행 제어, 미션 관리, 데이터 처리 및 통신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러한 운영체제는 항공기의 안전한 운용과 효율적인 임무 수행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은 실시간 운영체제의 구성 요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시간 운영체제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커널(Kernel)
▶실시간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운영체제의 기본 기능을 수행합니다.
▶ 작업 스케줄링, 인터럽트 처리, 자원 관리, 작업 동기화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 일반적으로 커널은 작고 경량화되어 있어 제한된 자원에서도 효율적으로 동작해야 합니다.
작업(Task)
▶ 실시간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는 개별적인 작업 단위입니다.
▶ 비행 제어, 센서 데이터 처리, 통신 관리, 임무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 작업은 우선순위에 따라 실행되며, 시간 제약을 준수하여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보장합니다.
인터럽트(Interrupt)
▶ 외부 이벤트에 대응하여 처리되는 신호입니다.
▶ 실시간 운영체제에서는 인터럽트를 적절히 처리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응답을 보장합니다.
▶ 주로 센서 데이터 수신, 외부 명령 처리 등에 사용됩니다.
자원(Resource)
▶ CPU, 메모리, 입출력 장치 등과 같은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할당합니다.
▶ 실시간 운영체제는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최적의 성능을 제공해야 합니다.
▶ 자원의 공유 및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동기화와 뮤텍스(Mutex), 세마포어(Semaphore) 등의 동기화 메커니즘이 사용됩니다.
스케줄러(Scheduler)
▶ 실시간 운영체제에서 작업들을 어떤 순서로 실행할지 결정합니다.
▶ 작업의 우선순위와 실행 상태를 관리하고, 작업 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정확한 시간 제어를 보장합니다.
▶ 일반적으로 라운드 로빈(Round Robin) 스케줄링, 우선순위 기반 스케줄링 등의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타이머(Timer)
▶ 시간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정확한 시간 기반 작업을 수행합니다.
▶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작업을 반복 실행하거나, 타임아웃을 설정하여 작업의 실행을 제어합니다.
통신 관리자(Communication Manager)
▶ 무인 항공기와 지상 제어 장치 또는 다른 장치 간의 통신을 관리합니다.
▶ 데이터 전송 및 수신, 프로토콜 처리, 오류 검출 및 복구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통신을 보장합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무인항공기의 실시간 운영체제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다음 번에는 더욱 흥미로운 주제로 무인항공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인항공기 & 드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인항공기의 추진 시스템 (0) | 2024.03.27 |
---|---|
무인 항공기의 Fault Tolerance : 안전한 비행을 위한 기술적 전략 (0) | 2024.03.26 |
무인 항공기의 MIL-STD-1553 통신 (0) | 2024.03.25 |
무인 항공기 자율 비행 시스템의 비행 경로 계획 알아보기 (0) | 2024.03.25 |
무인 항공기 비행 제어 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작동 원리 알아보기 (0) | 2024.03.21 |